비닐 분리수거 제대로 알기
종량제 봉투에 그냥 버려지는 쓰레기 중에 분리수거가 가능한 품목이 많은데 그중 80%가 비닐류라고 합니다. 일상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비닐, 다양한 종류의 비닐이 있는데요, 비닐 중에서도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과 재활용되지 않는 비닐이 있는데 환경을 위해 비닐이 제대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비닐 올바르게 분리수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봐요.
비닐은 크기보다 이물질 여부가 재활용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비닐류 분리배출할 때 오염된 부분은 깨끗하게 세척 후에 배출해야 합니다.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묻어 있는 채로 배출하면 다른 비닐까지 오염시켜서 모두 재활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반드시 깨끗하게 세척하여 배출하기로 해요.
비닐 종류별 분리배출 방법
비닐류 OTHER
OTHER로 표시된 비닐류들은 2가지 이상의 재질로 만들어진 복합재질을 의미하는데 과자나 라면 봉지, 건강즙에 많이 사용되는 OTHER는 태워서 에너지를 얻는 고형 연료로 재활용이 돼요.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내용물을 깨끗하게 씻고, 잘 말린 후 비닐류로 버려주시면 됩니다.
에어캡(뽁뽁이)
에어캡과 비닐 충전재는 재활용 비닐이에요. 테이프나 접착제가 붙어 있는 경우 해당 부분만 가위로 제거 후 비닐류로 배출해 주세요.
위생팩(일회용 비닐봉지), 지퍼백
지퍼백은 단일 재질이라 재활용 가치가 높은데 위생팩과 지퍼백은 깨끗한 상태에서만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이물질과 스티커는 반드시 제거한 후 배출해 주세요. 지퍼백에 붙어 있는 지퍼 부분은 따로 잘라낼 필요 없이 그대로 비닐류로 배출하고, 슬라이딩 지퍼백의 플라스틱 닫개는 떼어내서 일반 쓰레기로 버려주세요.
노트, 책, 물건 등을 포장한 얇은 비닐
노트나 책등 오염 방지를 위해 제품 겉에 포장되어 있는 얇은 비닐은 분리배출 마크가 없어서 재활용이 되는지 안되는지 헷갈릴 수도 있는데요, 이 얇은 포장 비닐은 재활용이 된다고 합니다.
택배 비닐 분리수거
택배 포장지는 송장이 붙은 자리와 투입구의 접착부분을 가위로 오려낸 뒤 배출해야 합니다.
재활용 안되는 비닐
작은 자투리 비닐 : 크기가 너무 작은 자투리 비닐은 선별작업에서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PVC 위생 랩 : 배달 음식을 시키면 음식물이 새지 않게 씌운 비닐이나 집에서 사용하는 랩 종류는 재활용이 되지 않는 성분입니다. PVC 위생 랩은 원료로 염소가 많이 들어가가는 는데 PVC를 태우면 이 염소 성분 때문에 염화수소 가스가 발생합니다. 염화수소 가스는 부식성이 아주 강해 기계를 망가뜨릴 수도 있어서 따로 재활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PVC 비닐은 반드시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검정 비닐봉지 : 유색이나 검정 비닐은 별도의 색소 분리 과정이 필요한데 비용 문제로 대부분 소각이나 매립됩니다. 가능한 한 투명하거나 흰색 비닐을 사용하고 되도록이면 비닐 사용 자체를 줄여나가도록 해요.
이물질이나 스티커가 붙은 비닐 :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씻어도 지워지지 않는 오염이 심한 비닐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비닐 버리기 전 한 번 더 체크!
-깨끗하고 재활용 가능한 비닐만 따로 모아, 빠른 내용물 확인을 위해 투명 비닐봉지에 담아 흩날리지 않도록 잘 묶어서 배출해 주세요.
-비닐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딱지 모양으로 접어서 배출하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아요. 딱지를 접은 비닐은 선별장에서 일일이 풀어서 내용물 확인이 어렵고 풍력을 활용하는 선별장에서는 그 무게 때문에 다른 비닐처럼 날아가지 않아 일반 쓰레기로 걸러진다고 합니다.
-버려진 비닐이 재활용되는 방식은 두 가지인데요, 깨끗한 상태로 분리배출된 것과 이물질이 묻은 비닐은 각각 다른 모습으로 재활용이 되는데 깨끗하게 분리배출된 비닐은 도로면 아래 관 등에 활용하는 등 물질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태워서 열은 얻는 열회수, 에너지 회수라는 명목으로 처리되고 있다고 합니다. 깨끗하게 분리배출되지 않은 비닐로 인해 효율적인 재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닐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잘 세척하여 깨끗한 상태로, 넓게 펼쳐서 배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