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폐기물의 문제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아프리카의 한 해변가, 수천 벌이 넘는 헌 옷이 모래사장에 산처럼 쌓여있는 영상이 누리꾼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영상에 나온 장소는 가나 수도 아크라의 한 해변으로, 전 세계에서 '수입'된 중고 의류 쓰레기로 가나에 도착한 중고 의류의 40%는 매립되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비가 오면 쓰레기 산을 이룬 옷들이 가나의 해변으로 쓸려내려가 모래사장을 뒤덮으면서 악취와 유독한 화학 성분 때문에 바다와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가나로 유입된 의류 쓰레기는 무역 자료를 집계하는 'OEC'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미국, 중국 등 세계 최대 헌 옷 수출국에서 나온것으로 한국도 세계 5위로 '패스트 패션'의 영향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개인사업자가 영리 목적으로 설치한 의류 수거함을 통해 헌 옷을 모아 이중에서 상태가 괜찮은 5%정도만 재활용하고, 나머지는 개발도상국으로 수출하게 됩니다.
빠르게 변하는 유행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생산되는 옷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패스트 패션', 요즘에는 패스트 패션을 넘어 '울트라 패스트 패션'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패션에 대한 유행이 빠르게 지나가고 있습니다.
패스트 패션의 영향으로 하루 평균 버려지는 의류 폐기물 양이 141톤이나 된다고 합니다.(2021년 기준) 이렇게 버려지는 옷들은 옷이 완전히 분해되기까지 200년이라는 시간이 걸리며, 옷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많은 천연자원이 사용되고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상당한 양의 온실 가스 배출도 발생합니다. 유엔(UN)에 따르면 패션 산업에 의해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8~1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패션산업에서 1년에 70억 지구인을 위해 만드는 옷은 1,000억개, 같은 해 버려지는 옷 330억개입니다.
T셔츠 한벌에 3,000L, 청바지는 7,000L가량의 물이 필요한데 티셔츠 한 장을 만드는데 한 사람이 3년 먹을 양을 티셔츠 하나를 만드는데 드는 셈으로 많은 물이 낭비되고 있습니다.
내구성이 뛰어나면서 저렴한 합성섬유는 전체 옷 중 석유기반인 합성섬유로 만드는 비율이 60%가 넘습니다. 플라스틱처럼 잘 썩지 않으며 세탁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과 탄소배출로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며 우리 몸에도 좋은 소재가 아닙니다.
유엔(UN)은 패션 산업에서 파생되는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것이 '지구 온난화를 해결할 열쇠'라고 말합니다.
최근에는 패스트패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로패션(SLOW FASHION)을 지향하는데, 슬로패션은 유행을 따르지 않고 친환경으로 만든 옷을 생산하고 소비하며 패션의 속도를 늦추는 패션 경향을 말합니다.
생산자는 유행을 따르지 않고 오래 입을 수 있는 상품을 디자인하며, 지속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양질의 제품을 만들고, 소비자는 유행보다는 개인의 개성과 취향을 고려하여 신중한 구매와 입지 않는 옷은 중고거래나 나눔을 통해 패션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합니다.
그럼 헌옷 버리는 방법과 헌옷수거함 품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류 수거함 품목
가능품목 : 헌옷, 신발, 가방, 담요, 커텐, 카펫, 새 속옷, 누비이불(솜이 없는 얇은 얇은 이불)
불가능 품목 : 수건, 인형, 이불, 베개, 방석, 실내화, 전기장판, 라텍스침구, 쿨매트, 롤러스케이트, 슬리퍼, 바퀴달린 여행용가방
헌옷(폐의류) 배출방법
의류
의류 수거함 위치는 아파트 단지 분리수거 하는 곳이나 주택가 골목에 배치되어 있는데, 정확하게 알수 있는 방법은 주민센터나 시청 및 구청에 전화로 문의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헌옷의 경우 비교적 깨끗하고 다른 사람이 입을 수 있는 상태라면 의류수거함으로 배출하고, 손상이나 오염이 심한 상태라면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깨끗하지만 입지 않는 옷은 의류 수거함에 배출하거나, 중고마켓에 판매하거나 아름다운 가게, 굿윌스토어, 옷캔 등에 기부합니다.
이불
솜이불과 같이 부피가 큰 이불은 대형 폐기물로 분류하여 버려야 하며, 누비이불처럼 부피가 작은 경우는 의류 수거함에 배출이 가능합니다.
극세사 나 차렵이불, 두꺼운 수건같은 경우 유기견 보호소에 보내면 열악한 보호소 재정으로 난방비가 부담되기 때문에 유기견들이 추운 겨울 바닥에 이불을 깔아준다고 합니다.
신발
재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낡거나 손상된 운동화는 일반쓰레기로 분류하여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셔야 합니다.
의류 수거함으로 버릴 때에는 두 짝이 흩어지지 않도록 신발 끈을 이용해 묶어주거나 비닐봉지 등에 배출하는것이 좋습니다.
속옷
착용했던 속옷은 일반쓰레기, 입지 않은 새 속옷만 의류 수거함에 가능합니다.
소비자는 저렴한 옷을 많이 구매하는 것보다 오래 두어도 질리지 않고 마음에 드는 옷을 적게 구매하고, 기업에선 재고로 남은 옷을 폐기하지 말고 업사이클링해서 사용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