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기후동행카드 대상, 신청방법 및 이용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정부가 긴급하게 대응하고 있는 기후 변화에 대비하여 만든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출시된지 11일만에 31만장이 넘게 팔리면서 현장에서는 기후동행카드 품귀현상이 일고 있습니다. 실물카드가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웃돈을 주고 구매하는 시민들까지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예상보다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란? 1회 요금 충전 월 6만 2천원으로(따릉이 포함 6만 5천원) 서울 내 지하철과 '시내'버스, 마을버스를 무제한으로 탈 수 있는 서울대중교통 정기권으로 기후와 교통 환경 변화에 맞춘 친환경 교통혁신 정기권으로 전국 최초로 시행되는 제도입니.. 2024. 2. 6.
2024청년제도 대중교통지원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년 새롭게 도입되는 청년지원제도에서 대중 교통지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중교통 요금 할인 K-PASS제도란? 2024년 예산안에 따르면 이동 거리에 상관없이 월 21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께 요금을 할인해주는 K-PASS제도를 새롭게 도입된다고 합니다. 2019년도에 도입된 알뜰교통카드 사업을 보완하여 보다 많은 혜택을 담은 교통요금할인 제도로 올해 7월부터 도입된다고 합니다. 별도로 앱을 깔 필요가 없고, 이동 거리에 상관없이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횟수별로 정해진 할인율 만큼 지원을 받는 제도입니다. 적립 한도는 최대 60회까지 가능하며 최대 32만원까지 환급 받을 수있습니다. 'K-PASS'란 한달에 21회 이상 지하철이나 버스 등 대중교.. 2024. 2. 5.
2023청년제도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금리 총정리 청년도약계좌는 특정 연령대(일반적으로 청년으로 분류되는 연령대)의 사람들이 경제적 자립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저축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입니다. 새 정부의 청년 공약이었던 청년도약계좌가 드디어 신청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조건과 신청기간, 금리에 대해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 납입 금액 알아보기 월 70만원 한도 내 만기 5년 상품으로, 매월 최소 1천원부터 70만원까지 자유 납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이 최대 70만원을 납입하면 5년간 정부 기여금, 은행 이자, 이자 비과세를 적용해 최대 5천만원까지 목돈을 만들게 됩니다. 중간에 납입이 끊긴다고 해도 유지가 가능해 중도 해지의 위험성을 낮추었습니다. 또한, 언제든지 중도 해지가 가능하며 해지 후 2개월이 지나면 .. 2023. 7. 9.
2023 청년제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조건, 대상자, 만기, 중도해지 총정리 청년내일채움공제 제도는 고용노동부에서 노동시장에 새로 진입한 청년들의 초기 경력 형성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입니다. 대상자인 청년이 적립하는 금액은 400만 원이며, 나머지는 기업과 정부에서 채워주는 제도입니다. 신청조건과 대상자, 만기금액, 중도해지에 대해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1. 신청조건 및 대상자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할 수 있는 대상자는 우선 '정규직'채용자여야 하고 '만 15세 이상~만 34세 이하'여야 합니다. 파견근로자, 기간제근로자는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또한, '고용보험 이력'조회를 통해 그동안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는 생애 최초 취업자이거나,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인 사람이어야 합니다. 고등학교나 대학생에 재학중인 사람은 가입.. 2023. 7. 4.
반응형